조용필 팬클럽 미지의 세계 Cho Yongpil Fanclub Mizi

뉴스

신문사  
기사 날짜  
[세계타워]‘늙은 오빠부대’를 위하여

지난 주말 서울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조용필 40주년 기념콘서트 현장에 다녀왔다. 4만2000장의 티켓이 전량 매진됐고, 입장을 원하는 팬들의 요청이 빗발치자 좌석 수를 늘려 5만여명을 수용한 대형 무대였다. 국내에서 스포츠 경기가 아니라 한 사람, 그것도 키 작은 가수 하나 보기 위해 이렇듯 많은 사람이 한자리에 운집한 경우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하지만 조용필 정도면 충분히 가능하리라 예상했기에 콘서트에 단순히 많은 관객이 운집했다고 새삼스럽게 놀란 건 아니다. 으레 콘서트는 젊은 층의 전유물로 여겨지고, 실제로도 그러하지만, 이날 모인 관객들은 전혀 달랐다. 4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작은 거인 조용필이 2시간40분 동안 36곡의 노래를 열창하는 내내 이 중후한 관객들은 봄밤의 운동장 스탠드를 가득 메우고 색색의 야광봉을 흔들며 환호했다. 아저씨 한 분은 자리에서 일어나 늦둥이 하나 등에 짊어진 채 노래에 맞춰 시종 리드미컬하게 몸을 흔들었다. 아이가 멀미하지 않을까 걱정됐다. 그 아저씨 앞에서는 아주머니 한 분이 그동안 눌러온 스트레스를 다 날려버리려는 듯 한시도 쉬지 않고 정열적으로 야광봉을 흔들며 춤을 추었다. 지금은 남편과 자식들 수발하느라 주름살이 늘고 몸은 불어 어디를 가나 천생 아줌마 소리를 듣지만, 그 여인에게도 한때는 오빠를 연호하던 시절이 있었을 테다.

이들이야말로 한국사회를 이끌어가는 중심 세대임에도 일을 떠나 따로 위로받을 만한 문화 현장은 찾아보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가뜩이나 피로한 몸을 술자리에서 혹사시키거나, 요즘은 이것마저 시들해지는 추세이긴 하지만, 마지막 여흥은 노래방에 달려가 푸는 경우가 태반이다. 공연장은 젊은 사람들에게 내주고, 그것도 콘서트 현장은 10대에게 넘겨줘 버렸다. 사실 넘겨준 게 아니라 그들이 갈 만한 곳이 원천봉쇄돼 있다고 표현하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 조용필 콘서트 현장의 아줌마 아저씨 물결을 보면 그동안 그들이 바빠서, 혹은 욕구가 없어서 공연장에 가지 않은 게 아니라 갈 만한 공연이 없어서 참고 참아왔다는 사실이 여실히 증명된다.

이러한 중장년의 문화적 욕구는 몇 가지 사례에서도 입증된다. 지난 2월 요양원을 배경으로 인생의 황혼에서 만난 마지막 사랑을 그린 뮤지컬 ‘러브’가 세종문화회관에서 막을 열었는데 이때에도 전체 관객 중 40대 이상이 80%를 차지했다. 올 초 박정자 주연의 연극 ‘19 그리고 80’의 관객층도 중장년이 압도적이었다. 한국연극의 중심 관객은 20대 여성과 커플들이 대부분이었고, 몇몇 특이한 사례를 제외하면 지금도 여전하다.

중장년층이 바쁘고 무감각해서 문화 현장과 멀어진다기보다는 이들을 수용할 만한 콘텐츠가 태부족인 게 문제다. 뮤지컬 쪽에서는 중장년 관객이 늘어난다는 사실에 착안해 그들을 위한 작품을 기획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 정도 ‘언 발에 오줌 누기’로는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날마다 전투를 치르고 있는 아저씨 아줌마들을 위로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이들을 소모적인 술자리와 노래방 골방에서 끌어내 열린 공간에서 몸과 마음을 다스리게 할 문화 현장을 일상화시킬 수는 없을까.

다행히 여건은 괜찮다. 이들 이전 세대가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 불철주야 몸으로 때우던 산업화세대였다면, 지금 40, 50대는 문화 부흥세대다. 1970년대 말에서 80년대에 걸쳐 일어난 다양한 문화운동의 주역이 그들이었다. 하지만 이들조차 일상에 매몰돼 조용히 늙어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지금 ‘동방신기’나 ‘신화’의 콘서트 현장을 찾아다니며 열광하는 10, 20대들도 이런 식의 한국적 문화지형에서 나이 들어가다 보면 요즘의 중장년 신세를 면치 못하기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각 세대가 고르게 누릴 수 있는 열린 공간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우리 사회 구성원의 정신건강을 배려하는 또 하나의 ‘건강보험’이 아닐까.

조용호 문화체육부장

출처: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80527002651&cid=0101100500000
번호 제목 신문사 기사 날짜 조회 수
506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file 노컷뉴스  2019-06-11  7578
505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file 연합뉴스  2019-06-11  7584
504 [단독] '가왕' 깜짝 방문에 팬들 가슴 '바운스~' 했다는데... file 문화일보  2019-03-22  5008
503 Again 가요톱10 <레전드의귀환- 2탄 조용필DAY> [3/21 09:00~21:00] file [유튜브] Again 가요톱10  2019-03-21  4742
502 KBS, 조용필 생일 맞아 특집 라이브 '조용필 데이' 방송 file 텐아시아  2019-03-19  5320
501 조용필 “나는 아직도 배움의 길에 있다“ 25만 열광 50주년 투어 ‘피날레‘ file 스타투데이  2018-12-17  4772
500 조용필, 50주년 전국투어 대장정 마무리 “아직 배우고 있다” file 스포츠동아  2018-12-17  4623
499 가왕 조용필, 50주년 전국투어 마무리..25만 관객 만났다 file 뉴스엔  2018-12-17  4740
498 ‘가왕’ 조용필, 50주년 전국투어 ‘땡스 투 유’…7개월 대장정 마무리 file 문화일보  2018-12-17  4915
497 조용필, 50주년 전국투어 성료 "나는 아직 배움의 길에 있다" file YTN  2018-12-17  4948
496 '가왕(歌王)'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나왔다 file 이뉴스투데이  2018-10-23  5201
495 조용필 기념메달 출시…"일생 최고의 영광" file 매일경제  2018-10-23  5829
494 조폐공사,가왕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출시 file 글로벌뉴스통신  2018-10-23  5033
493 '음악캠프' 조용필 '단발머리', 항상 최고의 노래로 꼽혀   2018-09-19  4757
492 '음악캠프' 조용필, 가왕의 품격 느껴진 진솔+유쾌 입담(종합) YTN  2018-09-19  4784
491 [조용필 50년]③뿅뿅뿅 전자 리듬 뒤에 숨겨진 밝은 슬픔 중앙일보  2018-05-03  6481
490 신승훈 "조용필 형님, 묵묵히 음악인으로 따라가겠습니다" 데일리안  2018-05-03  6575
489 방탄소년단 "조용필 선배와 '바운스' 같이 불러보고 싶다..든든해" 오센  2018-05-02  5288
488 방탄소년단, 조용필 50주년 축하…"'바운스' 같이 불러보고파" 마이데일리  2018-05-02  6158
487 "음악인으로서 좋은 선례"…방탄소년단, 조용필 데뷔 50주년 축하 메시지 스포츠조선연예  2018-05-02  6156

공식 미지 트위터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수익금 '음악역 1939' 전달식 (왼쪽부터 조폐공사 류진열 사업 이사, 김성기 가평군수, 음악역 1939 송홍섭 대표) [음악역 1939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한국조폐공사가 제작한 '가왕'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판...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가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음악영재 지원 사업에 후원한다.   공사는 11일 경기도 가평 뮤질빌리지 '음악역 1939'에서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가운데 2500만원을 가평군과 함께 가평뮤직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