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팬클럽 미지의 세계 Cho Yongpil Fanclub Mizi

뉴스

신문사  
기사 날짜  
[중앙 시평] 닻과 돛에 대하여


8월 13일, 평화와 환경을 걱정하는 400여 명의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이 '피스 앤드 그린 보트'에 올랐다. 출항에 앞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나는 최승호 시인이 일찍이 통찰해낸 '닻돛론'을 전개했다.

일본인들이 '앙카(앵커)'와 '마스토(마스트)', 이렇게 외국어로 부르는 이 두 물건을 한국인들은 '닻'과 '돛'이라고 부른다. 정반대로 기능하는 이 두 물건의 한국어 이름이 거의 똑같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닻을 올리지 않으면 돛을 올려봐야 배는 나아가지 못한다. 돛을 올려봐야 닻이 깊이 박혀 있으면 배는 나아가지 못한다. 닻과 돛은 멀리 있지 않지만 우리가 마음먹기에 따라 배를 묶어놓을 수도 있고 나아가게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오늘 닻과 돛을 올린다. 닻은 우리들의 과거, 돛은 우리들의 미래다. 한국인들에게 닻은 감정의 앙금일 수 있고 일본인들에게 닻은 무관심일 수 있다. 정치가 박아놓은 이 닻을 쑥 뽑아 올리고 문화라는 이름의 새 돛을 올려야 하지 않겠는가? 하루미 항에서 닻을 올린 배는 광복절 60주년을 맞는 날 부산에 입항했다. 일본인들과 함께 부산에 상륙하는 경험, 참 기묘했다. 민주공원에서, 8.15 평화 콘서트에 앞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도쿄국제대학 마에다 데쓰오 교수는, 일본 군국화를 걱정하던 요절 시인 이시카와 다쿠보쿠의 짧은 시 한 수를 읊었다. 95년 전에 쓰인 이 시 한 수에, 일본의 우경화를 불길해하는 노교수의 마음이 실려 있었다. 군사전문가인 마에다 교수가 문학을 말머리로 삼은 것이 퍽 인상적이었다.

세계지도 위 조선 나라에/ 검디검도록/ 먹칠해 가면서 가을 바람소리 듣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닻과 돛은 무엇이었던가? 나는 어린 시절부터 좋은 일본 시를 많이 읽고 아름다운 일본 노래를 많이 배웠다. 그러나 나는 시를 읊을 수도 없었고 노래를 부를 수도 없었다. 우리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다분히 정치적인 자체 검열에 제지당한 것이다.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울려 퍼졌을 때, 그 노래가 자칫 잘못하면 식민지 시대를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해석되지 않을까 정치적으로 우려하는 세력이 있었다.

노래의 발목을 잡던 이러한 정서가 그에게는 타의에 의한 닻이었으리. 그 노래는 일본으로도 퍼져나갔다. 일본에도 그 노래를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세력이 있었으니 그 또한 닻이었으리. 그러나 그는 이런 닻을 분연히 뽑아 올렸다. 음험한 정치적 계산에 박혀 있던 닻을 문화의 힘으로 뽑아버린 것이다. 그는 또 하나의 닻을 뽑기 위해 지난달엔 북한에도 다녀왔다.

그는 가수로 성공한 뒤 한 인터뷰에서, 딴따라가 불량인간으로 취급받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렇게 중얼거린 적이 있다. 정치적 정서로 판단하면 그는 불량인간이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문화적으로 그는 '위대한 탄생'을 성취했다. 나는 그의 데뷔 25주년 기념 콘서트 팸플릿에 '한 불량인간의 위대한 탄생'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쓴 적이 있다. 그래서 어떻게 되었던가? 가수 이성애.남상규가 선보였던 불모의 일본 무대에 계은숙.김연자가 씨를 뿌리고 보아가 꽃을 피우지 않았던가? 한류 열풍이 어떻게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겠는가? 민주공원에서 열린 평화 콘서트에서 소리꾼 장사익은 피를 토하듯이 '찔레꽃'을 뽑아 올리고, 왜색이라고 지탄받던 '동백 아가씨'를 다시 꽃피워 내었다. 여행은 그로부터 13일간 더 계속되었다. 나는 많은 일본인이 배 안에서 장사익에게 모자 벗고 절하는 것을 여러 번 보았다.

두 나라 사람들이 어울려 두 나라 노래를 부르는 '노래 교실'이 있었다. 한 일본인 노신사는 거의 매일 밤, 청주 됫병과 맥주 박스를 안고 와 참가자들을 격려했다. 일본을 매우 잘 아는 우리나라의 한 사회학자는 노신사의 그런 행동이 자기에게는 퍽 충격적이라고 했다. 닻을 뽑고 돛을 올린 노신사와 눈물 글썽거리며 헤어지자니, 아, 눈물만이 희망인가, 싶었다.

이윤기 소설가.번역가
번호 제목 신문사 기사 날짜 조회 수
273 [스포츠서울] 조용필 팬 베스트앨범 불매 왜?     8547
272 [동아일보 2011-07-04] [강헌의 가인열전]<1> 조용필 file     8551
271 [조선일보] 조용필 35주년 기념공연 무대 공개 file     8568
270 조용필, ‘단발머리’ 저작권 되찾아 [1] 경향신문  2014-02-11  8571
269 [조선일보] [어머니의 노래] '허공' file     8583
268 조용필 신보 2만장 선주문 기록…각종 음반 사이트 ‘올킬’ 유니온 프레스  2013-04-22  8586
267 [조선일보] 조용필 내달 3일부터 예술의 전당서 콘서트 [2]     8606
266 '골든디스크' 조용필, 음반 부문 본상 수상 '1회 대상자의 위엄' 엑스포츠뉴스  2014-01-16  8619
265 [박성서 평론] 조용필 음악의 원류, 데뷔 당시 음반을 다시 듣다. 뉴스메이커  2016-03-07  8648
264 [헤럴드경제] 조용필 35주년 기념앨범 나왔다     8657
263 [연합뉴스] 조용필 35주년 기념공연 DVD 출시 file     8672
262 [일요신문] 데뷔 35주년 콘서트 여는 국민가수 조용필     8682
261 조용필 쇼케이스, 강산은 변해도 팬심은 불변..2천명 열광[종합] file OSEN  2013-04-23  8752
260 [일간스포츠] [창간기획] 앞서 걸어온 개척자… 함께 선도한 동반자 file     8771
259 [한현우의 팝 컬처] 조용필은 어떻게 조용필이 되었나 조선일보  2013-05-23  8781
258 멜론, 조용필 45주년 기념 투어 ‘헬로’ 실황 독점 공개 헤럴드경제  2015-06-30  8788
257 [디지틀청년의사] 조용필, 삼성서울병원에 5천만원 기부     8807
256 ‘골든디스크’ 조용필 본상 수상, “오래 기억되는 것이 나의 꿈” 파이낸셜뉴스  2014-01-16  8816
255 [서울경제] 가수 조용필, 5천만원 삼성서울병원에 기부     8817
254 [세계일보] ''뮤지컬+가요'' 새 무지개 찾아     8822

공식 미지 트위터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수익금 '음악역 1939' 전달식 (왼쪽부터 조폐공사 류진열 사업 이사, 김성기 가평군수, 음악역 1939 송홍섭 대표) [음악역 1939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한국조폐공사가 제작한 '가왕'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판...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가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음악영재 지원 사업에 후원한다.   공사는 11일 경기도 가평 뮤질빌리지 '음악역 1939'에서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가운데 2500만원을 가평군과 함께 가평뮤직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