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팬클럽 미지의 세계 Cho Yongpil Fanclub Mizi

뉴스

신문사  
기사 날짜  
그대는 왜 촛불을 드셨나요?

불을 억지로 끄려고 하면 장작불로 바뀔 수 있음을 알아야  


‘그대는 왜 촛불을 키셨나요. 그대는 왜 촛불을 키셨나요…….’

80년대를 풍미했던 조용필의 노래 ‘촛불’은 ‘왜’ 촛불을 켰는지에 대해서 연달아 묻고 있어, 지금의 시국에 대한 예지가요만 같다.

우리 역사 사상 시위에 초·중생이 가담한 적도 있었던가?

남녀노소가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선 이유는 분명 미친 소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그렇게도 국민을 잘 살게 해 주겠노라 던 대통령의 백일잔치는 촛불잔치가 되었는가.

촛불을 밝히는 것은 기도하는 것과 같다. 우리 민족에게 촛불은 차세대의 미래를 위해서 캄캄한 밤을 밝히는 절망 속의 빛이었다. 그래서 집안의 가장 연장자가 대표로 후미진 곳마다 불을 밝히고 액운은 물리게 하고, 행운을 불러들이는 매개체로 삼아왔다.

그런데 그 영혼을 밝히는 심지였던 촛불을 차세대들까지 합류하여 거리에 나왔다. 이것은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자발적인 참여로 매우 주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어떤 이유에서건 민중의 울부짖음이고, 분노의 표출이다. 그 촛불을 든 가슴마다 이 시대의 대한민국 국민으로 묵묵히 견뎌내기에 감당하기 몹시 뜨거운 불덩어리가 꿈틀거리고 있다는 것이다.

기성세대는 기성세대대로, 청소년은 청소년대로, 어린이는 어린이들 나름대로…….

MB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인수하는 기간부터 물가는 천정부지로 뛰어 올랐다. 일정 부분의 물가에 대해선 세계 유가 폭등으로 나라님도 어쩔 수 없겠지만 기성세대가 한 집안의 가장으로 살아가기에 너무 힘들어졌고, 장바구니를 든 주부들의 사정도 매우 절박해 졌다.

또 모든 교육의 교육비는 대들보가 흔들릴 지경인데, ‘영어몰입’이니, ‘초등학교부터 상대평가’니 하는 나라의 대표가 한 마디씩 던지는 교육정책은 부모와 어린이, 청소년들의 어려움을 더욱 부채질 했다. 그래서 초등학생들까지 ‘대통령’이라면 고개를 절래 절래 흔드는 풍토가 되고 말았다.

예로부터 민중은 메이저리그 층이 아니고, 마이너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그들은 대부분 천대받고, 멸시받았다. 그들이 시대의 흐름을 이끌고 있으면서도 비주류로 존재했다.

민중은 가장 기본적인 것을 요구한다. 이것마저도 결여될 때, 그들은 횃불을 들었고, 깃발을 흔들었다.

어떤 영화에서 소시민들 괴롭히는 범죄자를 ‘공공의 적’이라하며, 전개해 나간다. 그 영화에서는 가졌다는 이유만으로도 못 가진 자에게 큰 소리 쳐서는 안 된다는 말을 한다. 많이 가진 것이 죄가 아니듯, 가지지 못한 것도 죄가 아니라는 것이다.

2008년 대한민국에 가진 자 보다는 못 가진 자가 훨씬 많다. 가진 것을 자랑삼아 큰 소리 치며 내각을 구성할 분위기는 아직 아니다.

광우병 소고기가 수입되는 것이 촛불시위의 전적인 원인이 아니다. 이런 민심도 읽지 못하는 정부를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을 잘 살게 해 주겠다고 해 놓고, 누구나가 손쉽게 먹을 수 있었던 김밥 값 마저 50%정도 인상되는 것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잘 살기는 커녕 배고파 죽겠다. 온 거리가 붉은 조끼 입은 사람들도 가득하다. 밤이면 촛불을 밝힌다.

그래도 남색과 쪽빛이 하나이고, 얼음과 물이 같은 성질이듯 우리는 하나다. 이제 촛불을 든 사람도, 그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는 이씨도, 권씨도, 정부도 한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은 명백한 진리이다.

조용필의 ‘촛불’은 연약한 마음을 말 할 곳이 없어서 촛불을 켰다고 했다. 요즘 우리나라의 밤거리의 촛불도 연약한 국민의 마음일 것이다. 연약한 마음은 표현됨으로 강해질 수 있다.

촛불을 든 사람도, 이 불빛을 멀리서 가까이서 바라보는 사람도, 집단의 힘으로 억지로 바꾸려 하면 더욱 위태로워짐을 알아야 하고, 필력이 있거나 인기가 있다고 하여 불을 억지로 끄려고 하면 장작불로 바뀔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선선미 기자, ssmi70@naver.com  

출처:http://www.newstown.co.kr/newsbuilder/service/article/mess_main.asp?P_Index=61422
번호 제목 신문사 기사 날짜 조회 수
1913 [스포츠칸 2005-11-22] 조용필 생가복원 마찰음 file     4951
1912 [매일경제 2006-02-27] [매경춘추] 열정에 관하여     4951
1911 [문화일보 2006-03-14] “한국 대중음악 업그레이드”     4951
1910 [동아일보]조용필씨, 심장병 어린이돕기 성금 5000만원 기부     4952
1909 [마이데일리] 서태지는 한국의 레이 찰스-영화 '레이'     4952
1908 [일간스포츠 2005-12-29] 노래로 평화를` 조용필 골든디스크상 공로상 수여식     4952
1907 [마이데일리 2005-06-29][포토]`조용필 오빠도 팬도 영원하다'(콘서     4954
1906 [동아일보 2008-04-22] [공연]歌王, 한 오백년 부를수 있다면…     4954
1905 [연합뉴스 2005-12-20] 화성시의회 조용필 생가부지 매입승인     4955
1904 [이데일리 2010-06-04] (여의도에서)조용필과 소녀시대, 그리고 연예산업     4955
1903 [쿠키뉴스 2005-08-03] 조용필 “‘꿈의 아리랑’으로 마지막 장식할 것”     4956
1902 [마이데일리 2005-11-24] 동방신기, 조용필의 '어린이에게 새 생명을' 리메이크 file     4956
» [뉴스타운 2008-06-20] 그대는 왜 촛불을 드셨나요?     4956
1900 [조선일보 2008-09-20] 전불꽃놀이-조용필40주년기념공연     4956
1899 [뉴스엔 2005-12-30] 김종국 부르는 조용필 ‘모나리자’ 어떤 느낌?(KBS가요대상)     4957
1898 [연합뉴스 2006-04-03] 조용필 2006년 전국 투어는 '필 앤 패션'     4957
1897 [화성뉴스 2007-09-16] 조용필, 그를 사랑하는 이들     4957
1896 [스포츠투데이 2008-02-12] 42시간동안 듣는 ‘조용필 40년 노래인생’ ‘경인방송FM’ 특집방송     4957
1895 [전남일보 2005-10-06] `가왕 조용필' 광주 콘서트     4958
1894 [한국일보 2005-11-22] [표주박] 화성시 11억넘는 조용필 생가복원?     4958

공식 미지 트위터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수익금 '음악역 1939' 전달식 (왼쪽부터 조폐공사 류진열 사업 이사, 김성기 가평군수, 음악역 1939 송홍섭 대표) [음악역 1939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한국조폐공사가 제작한 '가왕'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판...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가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음악영재 지원 사업에 후원한다.   공사는 11일 경기도 가평 뮤질빌리지 '음악역 1939'에서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가운데 2500만원을 가평군과 함께 가평뮤직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