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팬클럽 미지의 세계 Cho Yongpil Fanclub Mizi

열린 게시판

3

미래를 살고 있는 조용필 vs 과거에 살고 있는 강우석

우주꿀꿀푸름누리, 2013-05-09 12:51:44

조회 수
1052
추천 수
0

[이승재 기자의 무비홀릭]
http://news.donga.com/3/all/20130509/55015421/1


 

2000년대 중반 어느 가을밤의 일이다.

나는 가요 취재에 정통한 문화부 선배 기자를 따라 가수 조용필과 일식집에서 함께

저녁을 먹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재혼한 아내를 심장병으로 떠나보낸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시점이라 나는 수다를 떨지 않으려 자제했지만 그는 담담했다. 저녁을 먹고 난 조용필은

“집에 가서 한잔 더 하자”며 우리를 집으로 초대했다.

빌라인 그의 집은 텅텅 비어 있었다. ‘내가 조용필의 집에 오다니!’ 하고 한껏 흥분한

나는 무슨 의처증 환자처럼 방방마다 문을 열어보면서 호기심을 채워나갔다.

“초등생 시절 조용필 형님의 사진첩을 학교 앞 문방구에서 구입해 지니고 다녔다.

당시 사진 속 조용필 형님은 맨발로 바닥에 앉아있는 포즈였는데, 그 발바닥에 새겨진

 족문(足紋)을 돋보기로 유심히 살펴보니 나의 것과 매우 비슷해서 ‘나도 위대한 가수가 될 수 있겠다’

는 꿈을 품었었다”고 내가 미친 소리를 했다. 그러자 조용필은 “노래 좋아해요?

우리 노래할까?”라며 자택 인근의 작은 카페로 자리를 옮겼다.

나는 ‘가왕’ 조용필 앞에서 그의 히트곡 ‘허공’을 불렀다. 내가 생각해도

정말 호소력 있고 뻔뻔하게 잘 불렀다. 조용필은 (인사치레이겠지만) “오! 가수

재능이 있다”면서 내 노래에 대한 화답으로 즉석에서 ‘Q’를 불러주었다.

때마침 카페에 앉아있던 10명 남짓한 손님들은 조용필의 100% ‘즉석공연’을 목격하고는

“이게 웬 횡재냐. 복권당첨이 따로 없다. 가문의 영광”이라며 얼이 빠져버렸다.

우리 일행은 술을 더 많이 마셨고, 그는 점점 더 조용해졌다. 나중엔 아예 눈을 감고 침묵했다.

 외로움은 예술가에겐 잔인하면서도 가장 친한 친구가 아닐까 하고 난 생각했다.

그날 조용필의 집을 방문하여 내가 경험한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당시 50대 중반이었던

그가 아이돌그룹의 ‘핫’한 음악을 끊임없이 듣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는 집에 있는

 시간에는 늘 음악을 틀어놓고 마치 공기를 들이마시듯 본능처럼 모든 장르의 음악을

‘흡입’하는 습관이 있었다. 그날 그가 거실에 있는 오디오를 작동하자마자 흘러나온

음악은 바로 ‘빅뱅’의 노래였다. 놀란 나는 “아니, 애들 음악도 들으세요?”라고 물었고,

조용필은 “음악엔 나이가 없어요. (음악은) 하나예요”라면서 “요즘 아이돌의 음악은

정말 흥미로워서 듣다 보면 내게 큰 자극이 된다”고 답했다.

올해로 63세인 조용필이 무려 10년 만에 낸 19집 앨범 속 노래들을 두고 요즘 가요계에선

난리가 났다고 한다. 모던 록에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들려주는 ‘바운스’ 같은 노래를 철없는

 10대들이 “심장이 빠운스 빠운스 두근대”라며 너도나도 음원을 내려받는 현상이 신기하고

충격적일 것이다. 하지만 아이돌의 음악을 들으며 흥얼거리는 조용필의 모습을 생생히

기억하는 내게는 ‘조용필의 귀환’이 외려 당연한 일로만 여겨졌다. 그는 성공적인

과거에 포만감을 느끼기보다는 알 수 없는 미래로 자신을 용감하게 던지면서 끊임없이

 배고파할 줄 아는 진정한 혁신가였던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나의 생각은 지난달 ‘전설의 주먹’이란 영화를 의욕적으로 내놓은

 한국 상업영화의 ‘전설’ 강우석 감독에 미치게 되었다. 한때 언론들은 ‘조용필은

19번째 앨범으로, 강우석은 19번째 영화로 돌아왔다’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두 거장을

 동일시했지만 매우 안타깝게도 강우석의 19번째 영화는 개봉 한 달 가깝도록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이고 있다.

나는 거두절미한 채 곧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강우석의 직설화법이 요즘 관객과의 소통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다만 한 가지는 확실한 것 같다. 조용필은

자신이 한 번도 잘 해본 적이 없는 세계에 도전했고, 강우석은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세계를 또다시 복제해냈다는 점이다. 2003년 ‘실미도’를 통해 국내 최초로 ‘1000만 관객’

 신화를 쓴 강우석은 10년이 지난 지금 관객의 속내를 대신해 등장인물들이 미친 듯이 울분을

 토해내는 동일한 정서의 작품을 만들고 있다.

조용필과 강우석. 두 예술가 중 한 사람은 미래를 살았고, 다른 한 사람은 과거에 살고 있다.

진짜 ‘전설’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산다.

3 댓글

꿈이좋아

2013-05-09 19:00:28

^^...

필사랑♡김영미

2013-05-09 20:05:44

열정과 혁신의 조용필님...언제나 현재 진행형이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은 늘 미래에 살고 있는 것 같아요. ^^

그래서, 우리 팬들은 한결같이..조용필님을 존경하고 사랑하고 자부심을 느끼며 자랑스러워 하고 있지않나 싶어요.^^

candy

2013-05-10 00:03:55

그 한결같은 열정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Board Menu

목록

Page 1677 / 1677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HO YONGPIL-가황(歌皇), 조용필을 노래하다』 대백과사전&악보집 도서 기증

13
필사랑♡김영미 2023-07-10 2166
  공지

가황(歌皇), 조용필을 노래하다 이 책을 드리면서....

12
  • file
꿈의요정 2023-05-18 2263
  공지

조용필 『ROAD TO 20 PRELUDE 2』 뮤직비디오

10
일편단심민들레 2023-04-26 2249
  공지

[주문신청]가황,조용필을 노래하다-대백과사전/악보집

40
일편단심민들레 2022-12-13 6780
  18

가슴이 두근두근..

임재경 1999-10-31 7076
  17

축하드려요

김미영 1999-10-30 7433
  16

--

양은주 1999-10-28 7075
  15

대화방 열리는 시간이 언제인지

2
정해주 1999-10-26 8808
  14

죄송...

김학준 1999-10-26 7473
  13

멋지다 !!!

신현희 1999-10-26 7944
  12

말로 표현할수 없어!

최수연 1999-10-25 8170
  11

--

박계완 1999-10-25 7821
  10

대화방에 참여 하고 싶었는데

권미화 1999-10-24 7985
  9

앞으로 기대가 되네요.

김학준 1999-10-24 8355
  8

약속을 지킵시다....

1
정찬우 1999-10-24 9916
  7

Re: 약속을 지킵시다....

박상준 1999-10-24 8467
  6

--

이경훈 1999-10-24 8025
  5

수정하는 과정에서

신현희 1999-10-24 8778
  4

상준님 죄송합니다..너무 기쁜 나머지.

곽수현 1999-10-24 10986
  3

상원님 화이팅,조용필화이팅...........

1
곽수현 1999-10-23 11493
  2

Re: 상원님 화이팅,조용필화이팅...........

박상준 1999-10-23 9325
  1

안녕하세요

박상준 1999-10-23 9521

공식 미지 트위터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수익금 '음악역 1939' 전달식 (왼쪽부터 조폐공사 류진열 사업 이사, 김성기 가평군수, 음악역 1939 송홍섭 대표) [음악역 1939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한국조폐공사가 제작한 '가왕'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판...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가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음악영재 지원 사업에 후원한다.   공사는 11일 경기도 가평 뮤질빌리지 '음악역 1939'에서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가운데 2500만원을 가평군과 함께 가평뮤직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