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팬클럽 미지의 세계 Cho Yongpil Fanclub Mizi

뉴스

신문사  
기사 날짜  
[엔짱] 조용필, 또다른 '신화' 꿈꾸는 歌王

  



음악과 드라마 결합한 실험 · 환상적 무대
뮤지컬 이상의 새로운 장르 만들고 싶다

미로 같이 구불구불한 복도를 지나고 나니 서른평 남짓의 연습실이 나온다.

예술의 전당 내의 한 발레 연습실. 조용필은 요즘 그곳에서 오전 9시부터 밤 11시까지 살다시피 하고 있다. 연습실을 꽉 채우는 안무단 30명의 퍼포먼스를 지켜보거나, 코러스들의 합창을 세심히 들으며 그는 생각에 잠긴다.

그러고도 공연에서 선보일 서른 곡의 레퍼토리를 하루에 두번 이상씩 부르는 것을 쉬지 않는다. 젊은 세대 가수들도 하기 힘든 대형 공연을 무려 14일간이나 선보일 ‘가왕’(歌王) 조용필은 그렇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매일 같이 무대를 향한 ‘꿈’을 꾸고 있었다.

조용필은 “14일을 연속해서 공연을 한다는 것은 마라톤과 같다. 그래서 매일 2km, 4km, 조금씩 거리를 늘려 달리면서 최고의 몸을 만들기 위해 준비한다. 가수 생활을 30년 넘게 해 오며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무조건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12월 4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조용필 콘서트 = 정글시티’를 준비하고 있는 조용필은 ‘PIL & PEACE-평양에서 제주까지’의 전국투어 대장정을 마친 지 불과 1개월밖에 지나지 않았음에도 지친 기색을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꿈꾸는 청년 그 자체였다.

# 딴따라가 꾸는 꿈?

조용필은 이번 ‘조용필 콘서트 = 정글 시티’ 공연에서 드라마가 결합된 실험적인 무대를 꾸민다. 고대 도시와 미래 도시를 오가며 펼쳐지는 남녀의 영원한 사랑을 노래와 함께 꾸며간다.

원시의 ‘정글’과 현대의 ‘시티’를 교차해 판타지를 가미한 무대에서 조용필은 뮤지컬 ‘명성황후’로 알려진 여배우 이상은과 호흡을 맞춘다.

“지방 투어나 야외 공연과는 또 다른 장르의 공연이 될 것이다. 나도 그 장르를 뭐라고 규정지어야 할지 모르겠다. 다만 우리 나라 공연도 다른 나라에서 찾아와 보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그런 공연이 되길 바란다”

조용필은 예전부터 뮤지컬 무대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었다. 이번 공연 역시 그런 바람에서 시도된 무대다.

조용필은 “1950년대의 하모니카 소리에서 시작해 한국전쟁 등 굵직한 사건들을 거쳐가며 살아남은 ‘딴따라’의 이야기를 10여년전 뮤지컬로 만들려고 시도했었다.

‘서울 신화’란 타이틀로 뮤지컬을 기획했으나, 맹목적으로 덤벼든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고 포기했다. 이제는 뮤지컬이 아닌 내가 할 수 있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고 싶다.”

조용필은 얼마 전 ‘조용필 뮤지컬 컴퍼니’를 설립했다. 조용필은 "뮤지컬 이상의 어떤 것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조만간 부지가 마련되면 전용 연습실도 만들 생각이다”고 덧붙였다.

# '생가복원'에 대한 오해는 그만!

조용필은 중학교 2학년 때 가수의 꿈을 위해 고향을 떠나왔다.

고향에 대한 애틋함은 여느 사람들처럼 그도 갖고 있다. 조용필은 최근 고향인 경기도 화성시가 ‘조용필 생가 관광자원화 사업’을 2007년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히자 ‘생가복원’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조용필은 “흔히들 내 고향이 부산인 줄로만 안다. ‘돌아와요 부산항에’ 때문인 것 같다. 부산명예 시민증까지 받아 더더욱 나를 부산과 관련시키는 일이 많은데 솔직히 답답할 때도 있다”고 조심스레 입을 뗐다.

그는 이어 “고향인 화성이 ‘연쇄살인사건’으로 안 좋은 이미지로 비쳐지는 데 대해 평소 안타깝게 생각했다. 한류가 거세지는 시점에서 화성시의 이미지를 바꾸는 데 도움이 되고 싶었다.

마침 화성시에서 고향집을 복원해 관광자원화를 하는 사업을 펼치겠다고 해 문화적 차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괜찮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먼저 고향 주민들의 의견에 따라야 할 것이다. 사업이 통과된다면 문화적 차원에서 돕겠다는 생각이다”고 설명했다.

공연에 대해서라면 냉정하리만큼 진지하던 그가 고향 이야기가 나오자 사뭇 인간적인 생각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인터뷰 말미에는 “이제는 사람들과 좀더 가까이 부대끼며 살고 싶다. 고향도 챙기고, 나라도 생각하고, 이웃도 챙기고 싶다”라고 나직이 덧붙이기도 했다.

그런 그의 모습에서 불현듯 ‘이제 그 해답이 사랑이라면 나는 이 세상 모든 것들을 사랑하겠네’라는 조용필의 곡 ‘바람의 노래’의 한 소절이 떠올랐다.



이인경 기자 lik@sportshankook.co.kr사진=박철중 기자

번호 제목 신문사 기사 날짜 조회 수
973 [헤럴드 생생뉴스 2006-04-06] 조용필, “가수가 라이브하는 것은 당연”     5143
972 [기호일보 2009-06-04] 화성시 전곡항 조용필 콘서트 공연     5142
971 [중앙일보 2008-05-24] 조용필 40년 국민가수 인생 다시 썼다 ‘5만 관중 잠실벌 대운집’     5142
970 [한국일보 2007-03-20][오늘의 책<3월 21일>] 킬리만자로의 눈     5142
969 [문화일보 2005-08-23] "北서 `모나리자`까지 알줄 몰랐는데…"     5142
968 [YTN 2005-05-10] 2005 PIL %26 PEACE 조용필 콘서트     5142
967 [쿠키뉴스 2005.09.05] 용산만자로의 표범’을 아시나요     5141
966 '조용필 헬로' 안사면 흐름에 뒤처지기라도…2주만에 11만장↑ 이변 뉴시스  2013-05-06  5140
965 [뉴시스 2010-05-28] 포토모음 LOVE IN LOVE 콘서트 file     5140
964 [국민일보 2009.10.16 ] [손에 잡히는 책] PD가 경험한 북한… ‘그해 여름,그들은 왜 조용필을 불렀나’     5140
963 [문화일보 2008-12-11] [AM7]조용필 ‘더 히스토리’ 공연 역사 다시 썼다     5140
962 [노컷뉴스 2005-12-02] M.C THE MAX, 조용필 리메이크에 이어 4집 앨범 잔잔한 인기     5140
961 [노컷뉴스 2005-05-02] 매년 5월 8일 조용필의 날’지정 놓고 논란     5140
960 [동아일보 2008-03-23][전문가 100인 리서치]“엔터테인먼트 스타 No.1은 조용필”     5139
959 [스포츠코리아 2006-11-29] [가요]보아 조용필 앞섰다, 한국 가수 최초 5년 연속'NHK홍백가합전' 출전     5139
958 조용필 “‘가왕’보다는 ‘오빠’, 조용필 씨란 호칭이 제일 좋아” 노컷뉴스  2013-05-16  5138
957 [매일경제 2011-04-22] ‘위대한 탄생’ 왜 벌써 조용필 미션?     5138
956 [스포츠한국 2007-10-16] 이수영 "용필오빠 덕 봤어요"     5138
955 [스포츠 서울] 조용필, 직접 작곡한 드라마 주제곡 20만에 선보여     5138
954 [파이낸셜뉴스] ‘작은거인’ 조용필 큰 감동 대형무대     5138

공식 미지 트위터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수익금 '음악역 1939' 전달식 (왼쪽부터 조폐공사 류진열 사업 이사, 김성기 가평군수, 음악역 1939 송홍섭 대표) [음악역 1939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한국조폐공사가 제작한 '가왕'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판...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가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음악영재 지원 사업에 후원한다.   공사는 11일 경기도 가평 뮤질빌리지 '음악역 1939'에서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가운데 2500만원을 가평군과 함께 가평뮤직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