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필 팬클럽 미지의 세계 Cho Yongpil Fanclub Mizi

뉴스

신문사  
기사 날짜  
[AM7]국민가수? 54%가 “조용필”

가왕(歌王) 조용필이 54.6%라는 압도적인 지지로 80년대 국민가수로 뽑혔다.

AM7이 창간 4주년을 맞아 음악포털사이트 ‘뮤즈’에 의뢰해
지난 10월부터 40일간 468명을 대상으로
‘대중음악인식조사’를 물은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AM7이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는 대중음악의 현주소를 파악하기위해
‘1980년대와 90년대, 2000년대 국민가수가 있는가’라는 제목으로 실시했는데,
조용필은 다른 시대를 대표하는 국민가수의 응답률을 큰 차이로 따돌리며 최고 지지를 얻었다.

응답자들은
“조용필은 세대를 막론하고 좋아하는 국내 대중음악사에 많은 히트곡을 남긴 가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가창력” 등을 국민가수의 이유로 꼽았다.
90년대 국민가수로는 34%의 지지를 얻은 김건모가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응답자들은 ‘2000년대 국민가수’에 대해 ‘없다’(38%) ‘모르겠다’(24.4%) 등
62.4%가 부정적 의견을 나타냈다.
‘있다’는 답변은 37.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가수가 없는 이유로 응답자들은 ‘대중가요의 유행주기가 짧아
장기간 히트하는 노래가 거의 없다’(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김고금평기자 danny@munhwa.com

출처: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1120MW072350388123



음반 산업이 최악의 사태를 맞고 있는 가운데, 국민가수(국민가요)는 지금 존재하고 있을까.

AM7이 창간 4주년을 맞아 디지털음악기업 블루코드의 음악포털사이트 뮤즈(www.muz.co.kr)에 의뢰해 지난 10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10∼60대 468명을 대상으로 ‘대중음악인식조사’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63.4%가 2000년대 국민가수의 존재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2000년대 국민가수가 존재한다는 의견은 37.6%에 그쳤다. 특히 ‘2007년을 대표할만한 국민가수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다’(40%) ‘모르겠다’(29.9%) 등 부정의 답변이 69.9%로 나타났고, ‘있다’는 답변은 30.1%에 불과했다.

‘2000년대 국민가수가 있다’는 응답자 37.6% 가운데 40.1%는 가수 비를 1위로 뽑았고, 동방신기-SG워너비(각각 14.5%) 장윤정(8.7%) 보아(6.4%) 순으로 답했다.

‘국민가수가 없다’는 응답자들은 국민가수 부재의 이유를 ▲대중가요의 유행주기가 짧아 장기간 히트하는 노래가 거의 없다(33%) ▲전 연령이 좋아하는 노래를 찾기 어렵다(23.9%) ▲가수들이 드라마나 토크쇼패널로 출연해 멀티엔터테이너로 변화하기 때문에 가수활동에 집중하지 않는다(22.9%) ▲누구나 따라부를만한 대중가요가 없다(15.4%) ▲요즘 노래는 서로 비슷하다(4.8%) 등의 순으로 꼽았다.

반면, 응답자들은 1980년대와 90년대 국민가수가 존재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이 뽑은 80년대 국민가수 1위에는 조용필(54.6%)이 올랐다. 이어 이선희(8.6%) 이승철(8.3%) 이문세(7%) 김현식(6.7%) 순이었다. 90년대는 ‘핑계’ ‘잘못된 만남’ 등을 히트시킨 김건모가 34%의 지지를 얻어 1위를 차지했고, 서태지와 아이들(26.1%) H.O.T(16.3%) 신승훈(7.1%) 이승환(5.7%) 등의 차례로 순위를 이었다.

블루코드의 서혜식 이사는 80년대 국민가수로 조용필이 54.6%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은 것에 대해 “조용필의 인기를 체험하지 못했을 10, 20대가 이번 설문조사의 64.1%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용필을 선택한 것은 부모세대가 느끼는 조용필에 대한 국민가수로서의 존재감이 젊은 세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80, 90년대 국민가수의 존재’ 이유로 ▲가수들이 시대별 국민정서를 반영하는 노래를 대중가요로 불렀기 때문(33.6%) ▲가수 한 두 명에게 1년 이상 인기가 집중돼 있었으며 그들이 그 시대의 대중문화를 대표하고 있었으므로(24.9%) ▲젊은 층과 노년층 모두 즐길 수 있는 대중가요가 많았기 때문(19.4%) ▲노래가 따라 부르기 쉬웠기 때문(18.4%) 등을 들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국민가수라고 느끼는 이유에 대해 40%가 ‘그 가수가 부른 노래가 시간이 지나도 오래 기억된다’고 답했다. 국민가수의 요건에 대해서는 38.7%가 가창력을 꼽았고, 대중적 인기(30.1%)와 열정적 무대와 라이브 공연 실력(23.5%)이 뒤를 이었다. ‘출중한 외모’를 꼽은 답변자는 4.3%에 그쳐 국민가수의 기준으로 외모 보다는 가창력을 중요한 요소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앞으로 국민가수가 나올 것으로 보는가’에 대한 질문에 38.9%만이 ‘그렇다’고 응답했고, 60.7%는 국민가수 탄생에 부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혜식 이사는 “이번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듯 2000년대부터는 전 연령층이 좋아하는 가수 보다 특정 계층이 좋아하는 가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추세여서 국민가수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게 한다”고 말했다. 이번조사는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4%포인트다.  
번호 제목 신문사 기사 날짜 조회 수
1253 [Medical Today 2007-11-22] 조용필, "가요시상식 파행 기획사 욕심 탓"     5104
1252 [아이뉴스24 2007-11-22] 실력파 뮤지션이 TV와 불화하는 까닭     5332
1251 [뉴스엔 2007-11-22] 조용필 “여러 장르별로 대중을 휘어잡을 수 있는 스타가 부족해”     4959
1250 [마이데일리 2007-11-22][MD포토] 조용필 '가수아닌 방송인 될까 두려워'     4911
1249 [아이뉴스24 2007-11-22] 조용필 "대중 휘어잡을 스타 나와야"     4955
1248 [마이데일리 2007-11-22] 38년차 조용필 빅뱅, 같은날 코앞서 콘서트 대결     5292
1247 [뉴스엔 2007-11-22] 이승철 “조용필 앞에 서면 울렁증 생긴다”     5167
» [문화일보 2007-11-20] [AM7]국민가수? 54%가 “조용필”     5260
1245 [동아일보 2007-11-12] 늦가을, 조용필을 건너야 겨울로 간다     4870
1244 [중앙일보 2007-11-12] [주철환의즐거운천자문] ‘오직 음악으로 말하는’ 작은 거인 조용필     4899
1243 [일요신문 2007-11-10] [김태진 - 연예가 리포트 주절재잘] 지우고 싶은 실수담     4964
1242 [국제신문 2007-11-06] 한국의 새이야기 - 마도요     4866
1241 [화성뉴스 2007-11-03] 市, 같은 사안 놓고 다른 정보 제공     4950
1240 [매일신문 2007-11-03] (살아가는 이야기)이용과 조용필…그리고 텔테테테테 텔미♬     5225
1239 [한국신문 2007-11-02] 조용필 콘서트에 가게 된 것은…     4891
1238 [경향신문 2007-11-01] [줌인]“조용필이 가는 곳엔 어디든 간다”     5084
1237 [조선일보 2007-10-31] "화성을 조용필 도시로"     4849
1236 [일간스포츠 2007-10-29] 조용필, 12월 콘서트 예매율 호조     4978
1235 [오마이뉴스 2007-10-28] 조용필 시드니 공연 '절반의 성공'?     4980
1234 [세계일보 2007-10-25] 데이브레이크, 어쿠스틱 버전 ‘단발머리’ 들어보실래요     5179

공식 미지 트위터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메달 수익 음악 영재 발굴에 기부 조폐공사,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수익금 '음악역 1939' 전달식 (왼쪽부터 조폐공사 류진열 사업 이사, 김성기 가평군수, 음악역 1939 송홍섭 대표) [음악역 1939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한국조폐공사가 제작한 '가왕' 조용필 50주년 기념 메달 판...

뉴스 - News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조폐공사, 조용필 메달 수익금 일부 음악영재 '후원'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가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중 일부를 음악영재 지원 사업에 후원한다.   공사는 11일 경기도 가평 뮤질빌리지 '음악역 1939'에서 조용필 데뷔 50주년 기념메달 판매 수익금 가운데 2500만원을 가평군과 함께 가평뮤직빌리...